반응형
html 인코딩 설정
개발을 하다가 보면 html에서 위와 같이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인코딩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보통 EUC-KR과 UTF-8을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EUC-KR 방식은 원래 영어만을 고려한 1byte 길이의 ASCII라는 인코딩 방식을 확장하여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2byte 길이의 국가 언어 코드입니다.
즉 우리나라에서만 쓸 수 있도록 만든 코드이며 세계 어디에서나 공통으로 사용되는 인코딩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외국 같은 환경에서는 한글 페이지를 제대로 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인코딩 방식이 개발되었는데 그중 가장 보편화된 인코딩이 3byte 길이의 UTF-8입니다.
이전에는 인터넷 환경이 열악해서 용량이 적은 EUC-KR 방식을 선호하는 곳들이 많았으나 현재에는 용량보다는 표준화 및 글로벌 환경을 고려해서 UTF-8 인코딩 방식을 강력하게 권고하게 되었습니다.
해결방법
html5의 경우 <head></head> 태그 안에 삽입하여 페이지 언어 셋이 UTF-8이라고 브라우저에 알리면 됩니다.
<meta charset="utf-8">
또는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이렇게 선언해 주시면 됩니다.
예시 코드)
<!DOCTYPE>
<HTML>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1.12.4.js"></script>
<HEAD>
<TITLE> New Document </TITLE>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HEAD>
<BODY>
<form name="form">
<input type="button" id="saveBtn" value="button">
</form>
</BODY>
<script>
$( document ).ready(function() {
$("#saveBtn").on("click",function(){
alert("등록");
});
});
</script>
</HTML>
이러한 방식으로 선언해 주시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웹개발(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이란? (0) | 2021.08.09 |
---|---|
submit 중복 클릭 막기 (6) | 2021.07.09 |
GNB, LNB, SNB, FNB 설명 (0) | 2021.06.30 |
[Eclipse] 이클립스 콘솔 라인 출력 수 늘리기 (0) | 2021.06.21 |
꼭 알아야 할 리눅스 명령어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