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모바일

[모바일] 네이티브 앱 vs 모바일웹앱 vs 하이브리드 앱 차이 알아보기

by imfireguy 2021. 4. 9.
반응형

@robin-worrall unsplash

네이티브 앱(Native App)

네이티브 앱은 안드로이드, IOS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앱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합니다.

순수 앱으로 보시면 됩니다.

 

장점

 1.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2.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기능을 사용하는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카메라, 블루투스, GPS 기능 등)

 

단점

 1.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언어로 개발해야 됩니다. ( 안드로이드: java, Kotlin, IOS: Object-C, Swift )

 2. 안드로이드 버전과 IOS 버전을 따로 제작해야 됩니다.

 3. PC로는 접속이 접속이 불가능해 개발 자체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됩니다.

 4. 해당 마켓을 통해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에 불편함이 따릅니다.

 

모바일 웹 앱(Mobile Web App)

모바일 웹앱은 모바일 웹 사이트입니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장점

 1. 웹에서 사용하는 언어(HTML, CSS, JSP 등)로 개발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적 면에서 저렴하다

 2. 설치를 하지 않고 안드로이드와 IOS 구분 없이 인터넷 브라우저만 있으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점

 1. 온라인 상태에서 URL을 통해서 접속하는 앱이기 때문에 인터넷의 상태에 따라서 접속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마켓에 등록이 불가능하고 스마트폰에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네이티브 앱에 비해 속도가 느립니다.

 3. 웹앱이기 때문에 카메라와 같은 하드웨어 정보, 고유 정보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하이브리드 앱은 네이티브 앱의 장점과 모바일 웹앱의 장점을 결합한 앱입니다.

외부형태는 네이티브 앱이면서 실제 내부는 모바일 웹앱으로 실행됩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네이티브 개발과 웹 기술을 융합한 방식입니다.

 

장점

 1. 네이티브 앱처럼 핸드폰에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2. 하나의 소스로 IOS와 안드로이드에 맞게 포장이 가능하여 개발비용이 적게 듭니다.

 3. 마켓에 등록이 가능하며 배포 후에도 웹만 연결되어 있다면 수정 및 보완이 가능합니다.

 

단점 

 1. 하이브리드 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하이브리드 앱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